삼각법은 삼각형의 각도와 변에 관한 학문이지만, 그 영역은 기하학을 훨씬 넘어섭니다. 고대 별자리 지도부터 현대 GPS와 공학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세상을 측정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형성해왔습니다. 이 분야의 다양한 도구를 더 알아보고 싶다면 수학 카테고리를 확인하세요.
삼각법이란?
삼각법은 삼각형의 각도와 변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입니다. 그 명칭은 고대 그리스어인 trigonon(삼각형)과 metron(측정)에서 유래했습니다¹. 처음 보면 단지 삼각형에 관한 것 같지만, 깊이 들어가면 원, 파동, 그리고 자연계에서 반복되는 모든 패턴을 이해하는 문을 열어줍니다².
삼각법이 매력적인 이유는 바로 실용성에 있습니다. 직접 올라가지 않고 건물 높이를 측정하고 싶나요? 별자리를 지도화하거나 다리를 설계하거나 3D 비디오 게임을 렌더링할 때도 삼각법이 뒤에서 활약합니다. 교실 이론에만 머무르지 않고, 인류가 수세기 동안 의지해온 도구입니다.
🔗 삼각형 변의 길이가 궁금하다면, 피타고라스 정리 계산기를 사용해 삼각법의 대표적 공식을 실제로 체험해보세요.

삼각법의 기초 요소
모든 큰 학문에는 기본이 있듯, 삼각법도 예외가 아닙니다. 고급 항등식이나 공학적 적용에 들어가기 전에 몇 가지 간단하지만 핵심 개념부터 시작합니다.
첫 번째는 각도입니다. 일반적으로 각도는 도 단위(원은 360°)나 라디안 단위(원은 2π)로 측정합니다. 두 단위 간 전환은 문제를 풀 때 자주 필요하며, 학생들이 헷갈려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³.
다음은 직각삼각형의 비율인 사인(sine), 코사인(cosine), 탄젠트(tangent)입니다. 이 세 함수는 삼각법의 알파벳과 같습니다:
-
사인(sin)은 직각을 마주 보는 변과 빗변의 비율입니다.
-
코사인(cos)은 직각에 인접한 변과 빗변의 비율입니다.
-
탄젠트(tan)는 직각을 마주 보는 변과 인접한 변의 비율입니다.
직각삼각형에서 변을 연결하는 가장 초기 규칙 중 하나가 바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입니다. 이는 단순한 공식이 아니라 삼각법이 기하학과 대수를 연결하는 통로입니다⁴.
마지막으로 단위원이 있습니다. 반지름이 1인 원 위에 사인과 코사인 값을 모두 나타내는 방법으로 생각하면, 이 방식으로 삼각함수를 표현할 때 많은 항등식과 공식이 자연스럽게 이해됩니다.
비율을 빠르게 탐구해보고 싶다면, 두 수의 비율 계산기를 이용해 비례 관계를 실감해보세요.
삼각법 공식과 항등식
기본을 익혔다면, 삼각법을 강력하게 만드는 항등식을 배우는 것이 다음 단계입니다. 이 공식들은 지름길처럼 작용해 한 표현식을 다른 표현으로 변환하고 복잡한 문제를 간단히 풀 수 있도록 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역수 항등식(예: sin θ = 1 / csc θ)
-
피타고라스 항등식: sin² θ + cos² θ = 1 (피타고라스 정리에서 파생)
-
각도 합과 차 공식, 복잡한 각도를 다루기 쉽게 분해
-
중각 공식과 반각 공식, 미적분학과 물리학에서 자주 사용
💡 재미있는 사실: 고대 인도의 수학자 아리아바타는 1500년 전 사인 표를 사용했습니다⁵. 이 표는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삼각항등식의 선조입니다.
이 항등식들은 추상적인 수학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음파 계산부터 렌즈를 통한 빛의 굴절 예측에 이르기까지 널리 활용되며, 직각삼각형과 함께 쓰일 때는 기하학과 연결된 직각삼각형 계산기가 좋은 도움이 됩니다.
히파르코스와 최초의 별자리 지도
삼각법이 고대부터 내려온 학문이라는 느낌이 든다면, 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기원전 2세기경, 그리스 천문학자 니케아의 히파르코스는 인류가 오래도록 매료된 밤하늘을 연구하면서 간단한 기하학보다 더 정교한 체계를 필요로 했습니다. 그의 해법은 세계 최초의 삼각법 표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⁶.
원 하나를 360 부분으로 나누고, 현표(chord table)를 만들어(현대 사인 함수의 전신), 그는 별과 별 사이 거리를 놀라울 정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했습니다. 이 표는 단순한 수학적 호기심을 넘어서, 천체 항해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 혹시 아셨나요? 수세기 후 항해사들은 히파르코스의 삼각법 방식을 바탕으로 항해했으며⁷, 이 덕분에 해양 지도 제작이나 우주 로켓 발사가 가능해졌습니다.
수학과 천문학의 결합은 삼각법이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인간의 궁금증과 광활한 우주를 잇는 다리였음을 보여줍니다.

¹ 삼각법 단기 강좌 – Governors State University 수학과
² 삼각법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³ 수학 표준: 기하학과 삼각법 – 미국 교육부
⁴ 수학 원리 – 미국 표준기술연구소 (NIST)
⁵ 수학의 역사: 삼각법과 그 기원 – 인도 국가 교육 연구 및 훈련 위원회 (NCERT)
⁶ 삼각법의 역사 – 스탠퍼드 대학교 고전학과
⁷ 천문 항법과 그 역사 – 미국 해군 천문대